python

2024 겨울 모각코 - 내 장점은 algorithm

[모각코 / 240105] 알고리즘 문제 풀이 (코드트리 - 시뮬레이션)

안녕하세요. 모각코 1일차입니다. 오늘은 코드트리를 이용하여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시뮬레이션에 약해서 보완하기 위해 이 부분의 문제를 풀었습니다. 코드 트리 - 최고의 33위치 https://www.codetree.ai/missions/2/problems/best-place-of-33/description 코드트리 | 코딩테스트 준비를 위한 알고리즘 정석 국가대표가 만든 코딩 공부의 가이드북 코딩 왕초보부터 꿈의 직장 코테 합격까지, 국가대표가 엄선한 커리큘럼으로 준비해보세요. www.codetree.ai n * n 격자에 3 * 3 격자를 적절하게 잘 잡아서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입력 양식 5 0 0 0 1 1 1 0 1 1 1 0 1 0 1 0 0 1 0 1 0 0 0 0 1 1 출..

🔑알고리즘/baekjoon

백준 7562 : 나이트의 이동 - 파이썬 풀이 (bfs 알고리즘 이용)

백준 7562번 나이트의 이동 문제입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7562 7562번: 나이트의 이동 체스판 위에 한 나이트가 놓여져 있다. 나이트가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는 칸은 아래 그림에 나와있다. 나이트가 이동하려고 하는 칸이 주어진다. 나이트는 몇 번 움직이면 이 칸으로 이동할 수 www.acmicpc.net 입력 예제입니다. 첫째 줄은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그 다음 줄은 하나의 테스트 케이스로 체스판의 크기, 현재 있는 칸, 목적지 이렇게 주어집니다. 3 8 0 0 7 0 100 0 0 30 50 10 1 1 1 1 출력 예제입니다. 5 28 0 나이트의 8번의 이동을 bfs로 구현해서 풀었습니다. 나이트는 (2, 1), (1, 2), (-2, 1), (-1,..

🔑알고리즘/baekjoon

백준 1303 : 전투 파이썬 문제 풀이(bfs 알고리즘 사용)

백준 1303 번 전투 문제입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303 1303번: 전쟁 - 전투 첫째 줄에는 전쟁터의 가로 크기 N, 세로 크기 M(1 ≤ N, M ≤ 1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두 번째 줄에서 M+1번째 줄에는 각각 (X, Y)에 있는 병사들의 옷색이 띄어쓰기 없이 주어진다. 모든 자리에는 www.acmicpc.net 아군은 W, 적군은 B이고 n명이 뭉쳐있을 때 n^2의 위력을 나타내니 bfs 탐색을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입력의 첫째 줄은 전쟁터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이며 전쟁터의 모습이 출력됩니다. 5 5 WBWWW WWWWW BBBBB BBBWW WWWWW 출력입니다 130 65 저는 입력 받는 것 때문에 인덱스 에러를 겪어서 다른 예제도 적어..

🔑알고리즘/baekjoon

백준 1012 : 유기농 배추 파이썬 풀이(bfs 알고리즘)

백준 1012 번 유기농 배추문제입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12 1012번: 유기농 배추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www.acmicpc.net 입력은 첫 째줄은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그 다음은 M, N, K 로 입력 받으며 가로길이 세로길이 배추의 개수입니다. 가로 길이가 M 세로 길이가 N 이라고 해서 헷갈렸는데 가로의 개수가 M개로 생각하면 됩니다. 2 10 8 17 0 0 1 0 1 1 4 2 4 3 4 5 2 4 3 4 7 4 8 4 9 4 7 5 8 5 9 5 7 6 8 6 9 6 10 10 1 5..

🔑알고리즘/baekjoon

백준 16435 : 스네이크 버드 파이썬 정답 풀이

백준 16435번 스테이크 버드 문제입니다. 문제 입력 예제입니다. 문제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네이크 버드는 과일을 먹으면 몸의 길이가 1만큼 증가한다. 2. 스네이크 버드는 자신의 몸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아야 그 과일을 먹는다. 주어지는 입력값은 과일의 개수, 스네이크 버드의 길이, 과일 각각의 길이입니다. 아주 단순한 문제였습니다. 과일들의 길이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넣습니다. for문을 돌려 과일들의 값과 스네이크 버드의 길이를 비교하여 길이를 증가시켰습니다. for문을 최대한 적게 돌리려고 sort() 함수를 사용하여 fruits 리스트를 정렬해주었지만 과일의 개수가 많은 경우 오히려 시간이 증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n, l = map(int,input().split()) frui..

pkyung
'python'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