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준 16435번 스테이크 버드 문제입니다.
문제 입력 예제입니다.
문제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네이크 버드는 과일을 먹으면 몸의 길이가 1만큼 증가한다.
2. 스네이크 버드는 자신의 몸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아야 그 과일을 먹는다.
주어지는 입력값은 과일의 개수, 스네이크 버드의 길이, 과일 각각의 길이입니다.
아주 단순한 문제였습니다.
과일들의 길이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넣습니다.
for문을 돌려 과일들의 값과 스네이크 버드의 길이를 비교하여 길이를 증가시켰습니다.
for문을 최대한 적게 돌리려고 sort() 함수를 사용하여 fruits 리스트를 정렬해주었지만 과일의 개수가 많은 경우 오히려 시간이 증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n, l = map(int,input().split())
fruits = list(map(int,input().split()))
fruits.sort()
for i in range(n):
if fruits[i] <= l:
l += 1
else:
break
print(l)
반응형
'🔑알고리즘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12 : 유기농 배추 파이썬 풀이(bfs 알고리즘) (0) | 2022.08.21 |
---|---|
백준 2606번 : 바이러스 python 문제 풀이 (bfs 알고리즘) (0) | 2022.08.18 |
백준 10974 : 모든 순열 파이썬 정답 풀이 (0) | 2022.08.03 |
백준 2309 : 일곱 난쟁이 파이썬 정답 풀이 (combinations의 활용) (0) | 2022.08.03 |
백준 2217 : 로프 - 자바 문제 풀이 (0) | 202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