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 함수입니다. 문자열에서 지정한 문자의 개수가 몇개인지 세는 역할을 합니다. a = "hobby" a.count('b') => 2 index() 함수입니다. 문자열에서 지정한 문자의 인덱스를 찾는 역할을 합니다. python에서 문자열의 시작은 0부터 사작하며 가장 먼저 나온 문자의 인덱스를 출력합니다. a = "Life is too short" a.index('t') => 8 join() 함수입니다. 문자열을 문자열 안에 삽입하는 역할을 합니다. a = " " a.join('abcd') => 'a b c d' upper() 함수와 lower() 함수입니다. 각각 문자열을 대문자, 소문자로 바꿔줍니다. a = 'hi' a.upper() => 'HI' b = 'HI; b.lower() => '..
컴퓨터 과학적 사고 수업을 듣다가 나온 알고리즘이라서 구현해보고 싶었습니다. while문의 구조는 while (조건문) : 이며 조건문이 참이면 계속 반복하게 됩니다. 리스트를 만들어서 각각 커지게 짜보았습니다. list[index] += 1 이라는게 가능합니다! #거스름돈을 가장 적은 동전 개수로 지급 (500원 , 100원 , 50원 , 10원) list = [0 for i in range(4)] sum = int(input("거스름돈을 입력하세요 : ")) while sum != 0 : if sum >= 500 : list[0] += 1 sum = sum - 500 elif sum >= 100 : list[1] += 1 sum = sum - 100 elif sum >= 50 : list[2] += ..
이 리스트를 선택정렬로 구현해보도록 합시다. list1 =[5,9,2,3,1] 일단 선택정렬에 대해 알아볼까요? 5 9 2 3 1 1 9 2 3 5 1 2 9 3 5 1 2 3 9 5 1 2 3 5 9 선택정렬이란? 첫 번째 값인 5 / 9,2,3,1 이 중에 최솟값인 1을 찾아서 5와 자리를 바꾼다. 1 / 9 / 2,3,5 이 중에 최솟값은 2를 찾아 9와 자리를 바꾼다. 1 / 2 / 9 / 3,5 이 중에 최솟값인 3을 찾아 9와 자리를 바꾼다. 1 / 2 / 3 / 9 / 5 이 중에 최솟값인 5를 찾아 9와 자리를 바꾼다. 1 / 2 / 3 / 5 / 9 로 정렬된다. list1 =[5,9,2,3,1] print(0,"번 째 반복 : ",list1) for i in range(len(list1..
처음에는 문제 이해를 잘못해서 계속 틀렸습니다:) 예제 입력 5 //배열의 개수 5 50 50 70 80 100 //배열의 길이 배열에 넣을 수들... 7 100 95 90 80 70 60 50 3 70 90 80 3 70 90 81 9 100 99 98 97 96 95 94 93 91 예제 출력 40.000% 57.143% 33.333% 66.667% 55.556% 소수점 세 자리에서 반올림 해서 출력하는 것이 포인트였는데요. System.out.printf("%.3f",숫자) 형태를 사용했습니다. math.round(100*숫자)/100.0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왜냐하면 출력예제에서 40.000%로 출력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math.round를 사용하면 40.0으로 출력이 됩니다. 4344..
문자열을 특정 개수 출력하려면 변수 하나를 선언해서 활용하면 됩니다. 저는 Tree라는 변수를 선언했습니다. Tree를 반복문 안에서 1씩 증가시키고 Tree가 10개가 되면 break를 걸어 반복문을 빠져나가게 됩니다. 문자열 특정 개수만큼 출력 Tree = 0 while True: print(Tree+1,"나무를 칩니다") Tree += 1 if Tree == 10: break print("나무가 부서집니다.") 콘솔 창에서 이렇게 뜨게 됩니다. 보기 좋도록 Tree+1과 함께 출력했습니다. while문은 잘못하면 무한루프가 됩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것에는 break와 continue가 있는데요. break는 반복문을 멈추고 loop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continue는 현재 반복문은을 무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