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unt() 함수입니다.
문자열에서 지정한 문자의 개수가 몇개인지 세는 역할을 합니다.
a = "hobby"
a.count('b')
=> 2
index() 함수입니다.
문자열에서 지정한 문자의 인덱스를 찾는 역할을 합니다.
python에서 문자열의 시작은 0부터 사작하며 가장 먼저 나온 문자의 인덱스를 출력합니다.
a = "Life is too short"
a.index('t')
=> 8
join() 함수입니다.
문자열을 문자열 안에 삽입하는 역할을 합니다.
a = " "
a.join('abcd')
=> 'a b c d'
upper() 함수와 lower() 함수입니다.
각각 문자열을 대문자, 소문자로 바꿔줍니다.
a = 'hi'
a.upper()
=> 'HI'
b = 'HI;
b.lower()
=> 'hi'
replace() 함수입니다.
문자열을 지정한 문자열로 바꿔줍니다.
replace("문자열 내부에 있는 문자열","바꿀 문자열")
a = "Life is too short"
a.replace("Life","Your arm")
=> "Your arm is too short"
split() 함수입니다.
문자열을 나누어 리스트에 넣습니다.
a = "Life is too short"
a.split()
=> ['Life','is','too','short']
b = "a:b:c:d"
b.split(:)
=> ['a','b','c','d']
이런식으로 출력이 되지만 리스트 형태입니다.
strip() 함수입니다.
양쪽 공백을 지우는 역할을 하며 rstrip, lstrip을 사용하면 오른쪽, 왼쪽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a = " hi "
a.strip()
=> "hi"
a.lstrip()
=> "hi "
a.rstrip()
=> " hi"
반응형
'🔑알고리즘 > programming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void if return의 사용 (0) | 2021.09.11 |
---|---|
[Python] 엑셀에서 csv로 바뀔 때 생긴 한글 에러 해결 방법 (0) | 2021.07.22 |
[Python] 거스름돈 동전 적은 개수 알고리즘 (while 사용) (0) | 2021.05.19 |
[Python] 선택정렬 오름차순 구현하기 (0) | 2021.05.10 |
[Python] while문 무한 루프 빠져나가기 - 문자열 특정 개수 출력 (0) | 2021.05.05 |